전체 글 썸네일형 리스트형 Positive type PR 공정 및 Negative type PR 공정을 비교해보자. OLED 디스플레이 제조에서 Positive Type PR과 Negative Type PR은 포토리소그래피 공정의 핵심이며, 미세 패턴 형성과 구조물 제작에 각각의 장점이 활용됩니다. 아래에 각 공정의 공정 흐름도, 비교표, 그리고 실제 장비 구성을 종합적으로 정리했습니다.📈 1. Positive/Negative PR 공정 흐름도✅ [Positive PR 공정 흐름도] 노광 후 노출된 부분 제거미세 패턴 형성에 적합정밀한 L/S 패턴 (Line/Space) 구현 가능✅ [Negative PR 공정 흐름도] 노광 후 노출된 부분이 남음 (가교 반응으로 경화됨)두꺼운 구조물 형성에 적합포토스페이서, 씰, 렌즈 패턴 등 3D 구조 구현 가능📊 2. Positive PR vs Negative PR 비교표 .. 더보기 OLED Photolithography Nagative Type Photoresist 공정이란? OLED 디스플레이의 제조 과정에서 포토리소그래피(Photolithography) 공정은 소자 구조 형성과 정밀한 패턴 구현에 필수적인 핵심 공정이며, 이때 사용되는 감광재(Photoresist, PR)는 크게 Positive PR과 Negative PR로 구분됩니다. 본 문에서는 Negative Type Photoresist 공정의 원리, 세부 공정, OLED 공정에서의 응용, 장단점, 관련 재료와 최신 기술 동향에 이르기까지 심도 있게 다룹니다.📘 1. Negative Type PR 공정 개요Negative PR은 광 노광된 영역이 경화(경질화)되어 현상액에 녹지 않고 남는 특성을 가진 감광성 재료입니다. 즉, 빛을 받은 부분이 단단하게 굳어지고, 노광되지 않은 영역이 제거되어 패턴을 형성합니다.이.. 더보기 OLED Photolithography Positive Type Photoresist 공정이란? 💡 1. Positive Type PR 공정이란?Positive PR은 빛을 받은 부분이 현상액에 녹아 없어지는 특성을 가진 감광성 물질입니다. 즉, 노광된 영역이 제거되고, 노광되지 않은 영역이 남는 방식으로 패턴이 형성됩니다.이와 반대로 Negative PR은 빛을 받은 부분이 경화되어 남고, 노광되지 않은 부분이 제거됩니다. Positive PR은 해상도가 높고 미세패턴 형성에 유리하여, AMOLED 공정의 TFT 배선 형성, 콘택홀 에칭, PDL 패터닝 등 다양한 영역에서 널리 사용됩니다.📘 2. OLED 디스플레이에서의 Positive PR 적용 공정 개요OLED 디스플레이의 주요 공정 중 Positive PR이 사용되는 단계는 다음과 같습니다: 공정 단계 .. 더보기 OLED layer 종류 및 역활에 대해서 알아보자 OLED(유기 발광 다이오드)는 디스플레이 기술 중 하나로, 각 층(layer)마다 특정한 역할을 수행하여 전체적인 기능을 구현합니다. OLED의 구조는 일반적으로 다음과 같은 여러 층으로 구성됩니다. 1. 기판 (Substrate)기판은 OLED의 가장 아래에 위치하며, 전체 구조를 지지하는 역할을 합니다. 일반적으로 유리, 플라스틱 또는 금속으로 만들어집니다. 기판은 OLED의 투명성이나 유연성을 결정짓는 중요한 요소입니다. 2. 전극 (Electrode)OLED는 두 개의 전극으로 구성됩니다: 양극(anode)과 음극(cathode). 양극은 전자를 받아들이고, 음극은 전자를 방출합니다. 이 두 전극은 전류가 흐를 수 있도록 하여 유기 물질에서 발광을 유도합니다. 3. 유기 발광층 (Emissive.. 더보기 OLED Black PDL 및 CoE 기술과 향후 전망 1. OLED Black PDL 및 CoE 기술 개요1.1 OLED의 기본 원리유기발광다이오드(OLED, Organic Light Emitting Diode)는 자체 발광하는 디스플레이 기술로, 백라이트가 필요 없는 특징을 가지고 있다. OLED는 픽셀 하나하나가 스스로 빛을 내기 때문에 명암비가 뛰어나고 색 재현율이 우수하며, 빠른 응답 속도를 제공한다.1.2 Black PDL (Black Pixel Define Layer) 기술 개념Black PDL(Black Pixel Define Layer) 기술은 OLED의 픽셀 정의층(PDL)을 검은색으로 구현하는 기술이다. 기존 PDL은 투명하거나 반투명한 재료로 구성되어 있어 빛 반사가 발생할 수 있는데, Black PDL을 적용하면 다음과 같은 이점이 있.. 더보기 AMOLED와 LCD의 차이점에 대해서 알아보자 AMOLED와 LCD는 디스플레이 기술의 두 가지 주요 방식으로, 각기 다른 기술적 원리와 특징을 가지고 있습니다. 이 두 가지는 스마트폰, TV, 모니터 등 다양한 디지털 디스플레이 장치에서 사용되며, 각기 장단점이 있어 사용자에게 다른 경험을 제공합니다. 이제 AMOLED와 LCD의 차이점을 기술적으로 깊이 있게 살펴보겠습니다.1. 기술적 원리**AMOLED (Active Matrix Organic Light Emitting Diode)**와 **LCD (Liquid Crystal Display)**는 각각 다른 방식으로 화면을 구성합니다.AMOLED:AMOLED는 "유기 발광 다이오드" 기술을 기반으로 한 디스플레이입니다. AMOLED는 각 픽셀이 독립적으로 빛을 발하는 방식으로 작동합니다. 즉, .. 더보기 AMOLED 디스플레이란? AMOLED(능동형 유기 발광 다이오드)는 차세대 디스플레이 기술로, 뛰어난 화질과 다양한 장점을 제공하며 빠르게 성장하고 있습니다.1. AMOLED의 정의 및 작동 원리AMOLED는 Active Matrix Organic Light Emitting Diode의 약자로, 능동형 유기 발광 다이오드를 의미합니다. 이는 각 화소(픽셀)가 스스로 빛을 내는 유기 발광 물질을 사용하여 이미지를 표시하는 디스플레이 기술입니다.OLED(유기 발광 다이오드): OLED는 유기 화합물에 전류가 흐르면 빛을 내는 현상을 이용합니다. 각 화소는 빨간색, 녹색, 파란색의 유기 발광 물질로 구성되어 있으며, 전류의 양을 조절하여 다양한 색상을 표현합니다.Active Matrix(능동형 구동): AMOLED는 각 화소마다 박막.. 더보기 OLED 종류에 대해서 알아보자 OLED(Organic Light Emitting Diode, 유기 발광 다이오드)는 디스플레이 기술 중 하나로, 각 픽셀이 자체적으로 빛을 발산하는 특징을 가지고 있습니다. OLED 기술은 다양한 장점들 덕분에 스마트폰, 텔레비전, 스마트워치 등 여러 전자 기기에 널리 사용되고 있습니다. OLED는 크게 디스플레이 기술에 사용되는 방식과 구조에 따라 여러 종류로 구분될 수 있습니다. OLED의 주요 종류는 다음과 같습니다.1. AMOLED (Active Matrix OLED)AMOLED는 ‘능동형 매트릭스 유기 발광 다이오드’를 의미하며, 각 픽셀이 개별적으로 조작되는 방식의 OLED입니다. AMOLED는 화면에 픽셀을 형성하는 각 유기 물질에 전류를 공급하기 위해 각 픽셀에 개별적인 TFT(박막 트랜.. 더보기 이전 1 2 다음